그래픽카드 오버클럭 후, 게임 프레임이 144Hz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모습

그래픽카드 오버클럭, 아직도 겁부터 내세요? 144Hz 방어율 높이는 법

큰맘 먹고 144Hz 게이밍 모니터를 장만하고 나서, 막상 게임만 켜면 프레임이 100~120까지 불안하게 출렁이는 경험, 다들 해보셨을 겁니다. 저 역시 그랬어요. 특히 중요한 교전 중에 프레임이 뚝 끊겨서 어이없이 패배할 때면, 키보드를 정말 내려치고 싶은 심정이었습니다.

새 그래픽카드를 사야 하나 고민하며 지갑 사정을 한숨만 쉬다가, 문득 ‘밑져야 본전’이라는 생각으로 그래픽카드 오버클럭이라는 걸 시도해봤습니다. 처음엔 잘못 건드리면 컴퓨터가 고장 날까 봐 정말 겁이 났습니다.

하지만 몇 번의 시행착오와 고생끝에 안정적으로 성능을 5~10%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어요. 그 덕분에 불안정하던 프레임이 신기하게도 144Hz 근처에서 꾸준히 유지되는 걸 보고 비로소 안도의 한숨을 쉬었습니다. 제가 직접 부딪히며 터득한, 초보자도 안심하고 따라 할 수 있는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그래픽카드 오버클럭 방법을 지금부터 알려드릴게요.

설명

그래서 핵심만 요약하면? (3분 순삭)

  • ‘MSI 애프터버너’ 하나면 끝: 오버클럭은 이 무료 프로그램 하나로 다 합니다. 다른 건 필요 없어요.
  • 전력/온도 제한부터 최대로: 겁먹지 마세요. 이건 부스트를 위한 ‘허용 범위’를 넓혀주는 안전한 첫 단계입니다.
  • 코어/메모리 클럭은 아기 다루듯: +15, +20씩 아주 조금씩 올리고, 테스트하고, 또 올리는 ‘밀당’이 핵심입니다. 한 방에 올리면 무조건 화면 깨집니다.
  • ‘3DMark’로 안정성 테스트는 필수: 오버클럭 후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최소 10분 이상 돌려서 에러나 화면 깨짐이 없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저도 처음엔 ‘국민 오버 값’만 믿고 따라 하다 화면 깨졌어요

저도 처음엔 무작정 ‘국민 오버 값’만 믿고 따라 하다가 결국 화면이 깨지는 경험을 했습니다. 오버클럭을 처음 시작하는 분들이 가장 많이 저지르는 실수가, 인터넷에 떠도는 ‘RTX 4070 국민 오버 값: 코어 +150, 메모리 +1000’ 같은 정보를 맹목적으로 따라 하는 겁니다.

한때 ‘이게 정답이겠지?’ 하고 그대로 입력했다가 벤치마크를 돌리자마자 화면에 형형색색의 네모난 점(아티팩트)이 번지더니 프로그램이 그대로 먹통이 되는 황당한 경험을 하게 됬습니다…아무리 같은 모델의 그래픽카드라도 제조 과정의 미세한 차이 때문에 성능 편차, 즉 ‘수율’이 모두 다릅니다. 제 친구가 특정 값으로 성공했다고 해서 제 카드도 똑같이 성공하리라는 보장은 절대 없다는 걸 그때 뼈저리게 깨달았습니다. 오버클럭은 남의 ‘성공 족보’를 따라 하는 게 아니라, 내 그래픽카드가 가진 고유한 한계를 직접 찾아가는 과정이라는 걸 꼭 기억해 주셨으면 합니다.

오버클럭, 겁먹지 말고 딱 ‘이것’만 따라 하세요 (MSI 애프터버너)

자, 이제 진짜 시작입니다. MSI 애프터버너(Afterburner) 라는 프로그램을 여기서 검색해서 설치하세요. MSI 그래픽카드가 아니어도 상관없습니다. 제가 써보니 모든 제조사 카드에 다 쓸 수 있는 국민 오버클럭 툴이더라고요.

1단계: 준비운동 – 전력과 온도 제한 풀기

프로그램을 켜면 복잡한 계기판이 보이는데, 겁먹지 마세요. 가장 먼저 할 일은 Power Limit (전력 제한)와 Temp Limit (온도 제한) 슬라이더를 오른쪽으로 끝까지 당기는 것입니다. “내 그래픽카드가 일할 때, 전력은 이만큼 더 쓰고 온도는 이만큼까지 올라가도 괜찮아”라고 허락해주는 개념입니다. 이걸 풀어줘야 진짜 오버클럭이 제대로 적용됩니다.

2단계: 본 게임 – 코어와 메모리, 밀당의 기술

이제부터가 본 게임입니다. 절대로 한 번에 값을 많이 올리면 안 됩니다. 우리가 건드릴 건 Core Clock(코어 클럭)과 Memory Clock(메모리 클럭) 두 가지입니다.

  1. 코어 클럭부터 시작: Core Clock 슬라이더를 +20MHz 정도만 올려보고, 아래의 체크 표시(적용) 버튼을 누르세요.
  2. 안정성 테스트: ‘3DMark‘나 ‘Unigine Superposition’ 같은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최소 10분간 돌려봅니다. 화면 깨짐(아티팩트)이나 프로그램 멈춤, 드라이버 응답 없음 오류가 뜨지 않는지 확인하세요.
  3. 성공했다면? 다시 1번으로: 문제가 없었다면, 다시 애프터버너로 돌아가 코어 클럭을 +15~20MHz 더 올리고 2번 과정을 반복합니다.
  4. 문제가 생겼다면? 한 단계 후퇴: 만약 화면이 깨지거나 멈춘다면, 그 값이 이 카드의 한계치입니다. 바로 직전에 성공했던 안정적인 값으로 되돌아가세요. 그게 당신 카드의 ‘코어 클럭 실사용 값’입니다.
  5. 메모리 클럭도 똑같이: 코어 클럭 값을 찾았다면, 이제 메모리 클럭을 똑같은 방식으로 +50MHz씩 올려가며 한계점을 찾으면 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내 카드만의 최적의 오버클럭 값을 찾는 겁니다. 귀찮아 보이지만, 이 과정을 거쳐야 실사용에서 문제없는 안정적인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잠깐! 이 분야 덕후를 위한 TMI (시간 없으면 넘어가세요!)

슬라이더 중에 ‘Core Voltage(코어 전압)’라는 게 보일 겁니다. 이건 절대 건드리지 마세요. 전압을 올리면 오버클럭 잠재력을 더 끌어낼 수 있지만, 그래픽카드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심하면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하는 ‘전압 다이어트’ 없는 일반적인 오버클럭은 매우 안전한 편에 속합니다. 전압 조절은 정말 모든 것을 걸고 극한의 성능을 뽑아내고 싶은 하드코어 유저들의 영역이니, 우리 같은 일반인은 쳐다보지 않는 게 정신 건강에 이롭습니다.

오버클럭은 마법이 아니라 ‘숨은 1인치’를 찾는 과정입니다

오버클럭을 한다고 60프레임 나오던 게임이 갑자기 144프레임이 되진 않습니다. 하지만 120~144 사이를 불안하게 오가던 프레임을 144에 최대한 가깝게 ‘방어’해주고, 평균 프레임을 5~10% 올려주는 ‘공짜 성능 업그레이드’인 것은 확실합니다.

오늘 알려드린 방법대로 차근차근 따라 해보세요. 내 손으로 직접 그래픽카드의 숨겨진 잠재력을 깨우는 재미와 함께, 한결 부드러워진 게임 화면을 선물 받을 수 있을 겁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이런 문제 때문에 찾아오셨나요? 직접 고생하고 해결한 더 상세한 문제 해결 과정과 컴퓨터 성능을 끌어올리는 다양한 방법도 아래에 정리해 뒀으니, 필요하다면 꼭 읽어보세요!

그래서 그냥 안전빵으로 넣을 수 있는 추천 값 같은 건 없나요?

아, 그게 제일 어려운 질문인데요. 위에서 말했듯 카드마다 ‘수율’이 달라서 절대적인 값은 없습니다. 하지만 굳이 보수적으로 시작하고 싶다면, 코어 클럭은 +50~100, 메모리 클럭은 +400~500 사이에서 시작해서 조금씩 올려보는 건 괜찮은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도 테스트는 필수예요!

오버클럭 하면 그래픽카드 AS 날아가는 거 아니에요?

엄밀히 말하면, 오버클럭으로 인한 고장은 보증 대상이 아닙니다. 하지만 전압을 건드리지 않는 일반적인 오버클럭으로 카드가 고장 날 확률은 극히 낮습니다. 또한 소프트웨어로 값을 조절한 거라 사용자가 오버클럭을 했다는 걸 제조사에서 증명하기도 거의 불가능하죠.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오버클럭 했는데 프레임이 별로 안 오르는 것 같아요.

게임에 따라 오버클럭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게임이 있고, 적게 나타나는 게임이 있습니다. 또한 CPU 성능이 그래픽카드 성능을 못 따라오는 병목 현상이 있는 경우 프레임 향상이 미미할 수 있습니다. 오버클럭은 만병통치약이 아니라,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최대한 뽑아 쓰는 여러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해주세요.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