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U 스레드, 아직도 코어랑 헷갈리세요? 컴퓨터 100% 활용법 소개


컴퓨터 좀 다룬다 하는 분들도 작업 관리자(Ctrl+Shift+Esc)를 딱 열었을 때 살짝 당황하는 순간이 있습니다. “어? 내 CPU는 8코어인데, 왜 CPU 사용률 그래프는 16개가 보이지? 혹시 바이러스 먹었나?”

괜찮아요. 지극히 정상이니까요. 그 16개의 작은 그래프들이 바로 오늘 이야기할 ‘스레드(Thread)’의 정체입니다. IT 기기를 직접 써보고 부딪히며 배운 경험으로 말씀드리면, 이 스레드 개념만 제대로 알아도 내 컴퓨터의 성능을 100%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그래서 핵심만 요약하면? (3분 순삭)

  • 코어(Core)는 ‘진짜 일꾼(요리사)’입니다.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CPU의 핵심 두뇌죠.
  • 스레드(Thread)는 ‘일꾼의 손’이라고 생각하세요. 1코어 2스레드는, 요리사 한 명이 양손으로 동시에 두 가지 일을 처리하는 것과 같아요.
  • 그래서 스레드가 많으면 뭐가 좋냐고요? 여러 작업을 동시에 할 때(멀티태스킹), 특히 영상 인코딩이나 3D 렌더링처럼 일을 잘게 쪼개서 처리할 수 있을 때 엄청난 효율을 보여줍니다.

제가 영상 편집하다 ‘스레드’에 감동한 순간

제가 영상 편집에 막 입문했을 때였어요. 컷 편집하고 자막 넣는 건 괜찮았는데, 마지막에 ‘인코딩(하나의 영상 파일로 출력)’ 버튼만 누르면 컴퓨터가 거의 멈추다시피 하는 거예요. 답답해서 작업 관리자를 열어봤죠.

그때 제 눈에 들어온 게 바로 16개의 CPU 그래프였습니다. 놀랍게도, 16개의 그래프가 모두 90% 이상을 찍으며 미친 듯이 일을 하고 있더라고요. 마치 16명의 일꾼이 제 영상을 한 조각씩 맡아서 동시에 착착 조립하는 것처럼 보였어요. 그때 처음으로 ‘아, 이게 바로 멀티스레딩이구나. 내 CPU가 이렇게 열일하고 있었구나!’ 하고 뿌듯했던 기억이 나네요.

코어는 뇌, 스레드는 양손잡이 기술

이 개념을 요리사 비유로 끝내드릴게요.

  • 1코어 1스레드: 한 팔로 요리하는 요리사. 칼질하다가, 멈추고, 냄비 젓고… 한 번에 한 가지 일밖에 못 해서 비효율적이죠.
  • 1코어 2스레드: 양손잡이 요리사. 이게 바로 인텔의 ‘하이퍼스레딩(Hyper-Threading)’이나 AMD의 ‘SMT’ 기술이에요. 한 손으로는 양파를 썰면서, 다른 한 손으로는 끓고 있는 수프를 젓는 거죠. 요리사가 두 명이 된 건 아니지만, 쉬는 시간 없이 훨씬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게 됩니다.

즉, 8코어 16스레드 CPU는 ‘양손잡이 요리사 8명’이 주방에서 동시에 일하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실제 일꾼은 8명이지만, 운영체제(윈도우)는 16개의 손이 일하는 걸로 보고 16개의 그래프를 보여주는 거죠.

그래서 스레드 많은 게 게임에 좋나요?

“그럼 스레드 많으면 무조건 좋은 거네요?”
솔직히 말하면, 꼭 그렇진 않아요. 어떤 작업을 하느냐에 따라 중요도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 게임: 대부분의 게임은 아직 많은 스레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해요. 오히려 소수의 코어가 얼마나 빨리 일하는지, 즉 ‘코어 클럭(속도)’이 더 중요할 때가 많습니다. 4코어 8스레드만 돼도 웬만한 게임은 충분해요.
  • 게임 방송 / 영상 편집 / 3D 렌더링: 이 분야에서는 스레드가 많을수록 신입니다. 게임을 하면서 동시에 방송으로 송출하거나, 긴 영상을 인코딩하는 작업은 일을 잘게 쪼개서 여러 손(스레드)에 나눠주기 딱 좋거든요. 스레드가 많을수록 작업 시간이 눈에 띄게 줄어듭니다.

잠깐! 컴덕을 위한 TMI (하이퍼스레딩, 끄면 더 좋을 때도 있다?)

99.9%의 사용자에게는 해당 없는 얘기지만, 아주 가끔 이 하이퍼스레딩/SMT 기능을 끄는 게 성능에 더 유리할 때가 있다는 괴담(?)이 있어요. 하나의 코어가 가진 자원을 두 스레드가 나눠 쓰다 보니, 특정 전문 프로그램에서는 오히려 이 자원 분배 과정이 방해가 될 수 있다는 거죠. 하지만 이건 정말 극소수의 특수한 경우고, 일반적인 사용자들은 그냥 켜두는 게 무조건 이득입니다. 괜히 “성능 올린다!”고 바이오스(BIOS) 들어가서 끄지 마세요. 오히려 성능 떨어집니다.

결론: 내 작업에 맞는 ‘손’을 고르세요

CPU 스레드, 이제 확실히 감이 오시죠?

무조건 코어 숫자, 스레드 개수만 보고 “와, 이거 많으니까 좋은 거다!” 하고 고르면 안 됩니다. 내가 주로 하는 작업이 요리사 한 명이 혼자 빨리 처리하는 게 중요한지(게임), 아니면 여러 명의 요리사가 손을 총동원해서 동시에 달려드는 게 중요한지(영상 편집 등)를 먼저 생각해야 합니다.

내 작업에 맞는 ‘일꾼’과 ‘손’의 개수를 고르는 것, 그게 바로 똑똑한 소비의 시작입니다.

CPU 코어랑 스레드는 뭐가 다른 건가요? 쉽게 설명해주세요!

아주 쉽게 비유하자면, CPU 코어는 실제로 일하는 ‘요리사’이고, CPU 스레드는 그 요리사가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요리 주문서’ 또는 ‘논리적인 손의 개수’와 같습니다. 물리적인 요리사(코어)는 한 명이지만, 여러 개의 주문서(스레드)를 동시에 받아 효율적으로 일을 처리하는 것이죠. 즉, 코어는 물리적인 처리 장치이고, 스레드는 그 코어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작업 단위입니다.

CPU 스레드가 많으면 게임할 때 무조건 더 좋나요?

반드시 그렇지는 않습니다. 물론 최신 고사양 게임들은 여러 스레드를 활용하여 더 나은 성능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게임에 따라서는 스레드 수보다 코어 하나의 성능(클럭 속도 등)이 더 중요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그래픽카드(GPU) 성능도 게임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CPU 스레드 수만으로 게임 성능을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자신이 즐겨 하는 게임의 권장 사양을 확인하고, CPU와 GPU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 컴퓨터 CPU 스레드 수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윈도우 운영체제의 경우, 작업 관리자(Ctrl+Shift+Esc)를 열고 ‘성능’ 탭을 선택한 후 ‘CPU’ 항목을 보면 코어 수와 논리 프로세서(스레드) 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는 CPU-Z와 같은 시스템 정보 확인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더 자세한 CPU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인텔 CPU의 경우, Intel® Core™ 프로세서 제품군 페이지에서 모델명을 검색하여 스펙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하이퍼스레딩(Hyper-Threading) 기능은 항상 켜두는 게 좋은가요?

대부분의 경우 켜두는 것이 유리합니다. 하이퍼스레딩은 하나의 물리 코어가 두 개의 논리 스레드로 작동하게 하여 멀티태스킹 성능을 향상시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아주 드물게 특정 프로그램이나 작업 환경에서는 하이퍼스레딩으로 인해 오히려 성능이 미세하게 저하되거나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사용자라면 기본 설정대로 켜두고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이상 끌 필요는 없습니다.

CPU 스레드가 많으면 전기세가 더 많이 나오나요?

CPU 스레드 수가 직접적으로 전기세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전기세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은 CPU의 전체적인 전력 소모량(TDP)과 실제 사용량입니다. 물론, 스레드가 많고 코어 수가 많은 고성능 CPU일수록 일반적으로 TDP가 높은 경향이 있고, 부하가 많이 걸리는 작업을 할 때 전력 소모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스레드 수가 많다는 이유만으로 전기세가 크게 증가하지는 않습니다. 최신 CPU들은 전력 효율 기술도 함께 발전하고 있습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