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이너의 책상 위에 놓인 Xbox 휴대용 콘솔 프로토타입. 한 손이 화면의 '일시정지' 버튼 위를 맴돌고 있다.

Xbox 휴대용 콘솔 잠정 중단, MS는 왜 스스로 ‘일시 정지’ 버튼을 눌렀을까?

게이머들의 뜨거운 기대를 모았던 마이크로소프트(MS)의 휴대용 Xbox 콘솔 개발 프로젝트에 예상치 못한 제동이 걸렸습니다. 강력한 게임 구독 서비스인 Xbox 게임 패스를 앞세워 닌텐도 스위치 2의 대항마가 될 것으로 기대됐던 프로젝트가 최근 ‘일시 정지’ 상태에 들어갔다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입니다.

이 글은 단순히 ‘Xbox 휴대용 콘솔이 연기됐다’는 소식을 전하는 것을 넘어, 이 사건이 ‘범용 OS’인 윈도우가 마주한 거대한 딜레마이자, 마이크로소프트의 생태계 전략이 중대한 변곡점을 맞았다는 신호라는 관점에서 그 이면을 깊이 파고들려 합니다. 한 걸음 더 들어가 사건의 이면을 살펴보려 노력하는 퀵픽 IT뉴스 소식의 관점입니다.

바쁘신 분들을 위한 3줄 요약

  • 충격적 성능 역전: 동일한 휴대용 PC(레노버 리전 고)에서 MS 윈도우보다 리눅스 기반의 스팀OS가 더 높은 게임 성능과 배터리 효율을 보이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 자존심 구긴 MS, 하드웨어 중단: 이 결과는 윈도우의 휴대용 환경 최적화가 부족하다는 점을 드러냈고, 결국 MS는 자체 휴대용 콘솔 하드웨어 개발을 잠정 중단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소프트웨어가 먼저: MS의 진짜 목표는 당장의 기기 출시가 아니라, 윈도우 자체를 휴대용 게임 환경에 완벽히 최적화하여 ‘윈도우 핸드헬드’ 생태계의 지배력을 강화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윈도우가 스팀OS에 졌다?” 게이머 커뮤니티를 뒤흔든 사건

최근 휴대용 게임기 커뮤니티를 발칵 뒤집은 사건이 있었습니다. 바로 레노버 리전 고에 밸브의 스팀OS가 비공식적으로 이식된 후 나타난 벤치마크 결과였습니다. 놀랍게도 동일한 하드웨어에서 윈도우 11로 게임을 돌릴 때보다 스팀OS로 돌릴 때 더 높은 평균 프레임률을 기록하고, 심지어 배터리 소모량까지 적게 나타났다는 분석이 여러 기술 리뷰 채널을 통해 공개되었습니다.

왜 이게 충격적인 결과일까?

솔직히 이건 MS 입장에선 꽤 자존심 상하는 일입니다. 리눅스 기반인 스팀OS에서 윈도우 게임을 실행하려면 ‘프로톤(Proton)’이라는 번역기 같은 호환성 레이어를 거쳐야 합니다. 보통 이런 번역 과정에선 성능 손실이 생기는 게 당연하죠. 그런데 오히려 네이티브 OS인 윈도우보다 에뮬레이션 환경인 스팀OS가 더 나은 효율을 보였다는 겁니다.

이 현상은 윈도우가 휴대용 기기의 제한된 자원을 관리하고 게임 성능을 끌어내는 데 아직 서툴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마치 국가대표 선수가 자기 주 종목보다 다른 종목 시합에서 더 좋은 기록을 낸 것처럼, 윈도우가 가진 잠재력을 휴대용이라는 ‘경기장’에서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니까요.

스팀OS는 어떻게 더 효율적이었을까?

스팀OS가 상대적으로 뛰어난 성능을 보인 이유는 명확합니다. ‘오직 게임만을 위해 태어난 OS’이기 때문이죠.

  1. 태생부터 게임기 전용: 스팀OS는 처음부터 스팀 덱 같은 휴대용 게임기에 맞춰 설계됐습니다.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최소화하고 시스템 자원을 오직 게임에만 집중시키도록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2. 집요한 최적화: 개발사인 밸브는 특정 하드웨어(스팀 덱)에 대한 드라이버 튜닝과 프로톤 호환성 개선에 엄청난 투자를 해왔습니다.

반면 윈도우는 워드 작업부터 영상 편집, 게임까지 모든 것을 해야 하는 ‘만능 OS’입니다. 이 범용성 때문에 특정 사용 환경(고성능 휴대용 게임)에 완벽하게 맞춤화하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를 가집니다. 불필요한 서비스가 계속 돌아가고, 예기치 않은 업데이트가 터지는 등의 문제가 휴대용 기기의 배터리와 성능을 갉아먹는 것이죠.

MS의 결단: “하드웨어보다 OS가 먼저다”

이 레노버 리전 고의 스팀OS 성능 이슈는 MS 내부에서도 심각하게 받아들여진 것 같습니다. 윈도우 센트럴(Windows Central)의 저명한 Xbox 전문 기자 제즈 코든(Jez Cordon)의 보도에 따르면, MS Xbox 팀은 최근 회의에서 Xbox 휴대용 콘솔 개발 프로젝트를 ‘일시 정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결정이 프로젝트의 완전 폐기를 의미하는 건 아니지만, 방향을 크게 틀었다는 분명한 신호입니다. 제가 보기에 이 결정의 핵심은 “소프트웨어의 굴욕을 하드웨어로 덮을 순 없다”는 현실 인식입니다. MS 스스로 만들 하드웨어에서조차 자사 OS가 경쟁사 OS보다 못한 성능을 보인다면, 이건 하드웨어의 문제가 아니라 플랫폼 자체의 위기이니까요.

따라서 이번 ‘일시 정지’는 Xbox 게임 패스를 위한 전용 기기를 넘어, 점차 커지고 있는 ‘윈도우 핸드헬드’ 생태계 전체의 기반을 다지겠다는 장기적인 전략으로 해석하는 것이 더 정확해 보입니다.

넘어야 할 산: 윈도우 핸드헬드, 무엇이 문제고 어떻게 바뀔까?

현재 스팀 덱을 제외한 대부분의 휴대용 PC 게임기는 윈도우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사용자들은 한결같이 불편함을 호소합니다. 마치 스마트폰에 PC용 프로그램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어색함이죠.

  • 불편한 조작: 터치나 컨트롤러만으론 데스크톱 UI를 조작하기 힘듭니다.
  • 짧은 배터리: 시스템 자원 소모가 많아 배터리가 빨리 닳습니다.
  • 잦은 방해: 게임 중 갑자기 튀어나오는 윈도우 업데이트 알림은 몰입감을 해치는 주범입니다.
  • 불안정한 호환성: 슬립 모드 복귀 시 게임이 멈추거나, 드라이버가 꼬이는 일이 잦습니다.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MS는 윈도우에 ‘핸드헬드 모드’나 ‘게이밍 셸(Shell)’ 같은 전용 인터페이스를 도입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모드를 켜면 게임 외 모든 프로세스는 최소화되고, 시스템 자원은 게임에 우선 할당되며, 모든 알림은 차단되는 방식이죠. 또한 AMD, 인텔 같은 칩 제조사와의 협력을 통해 휴대용 기기에 특화된 드라이버와 전력 관리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입니다.

OS 유형성능 효율성 (동일 하드웨어)게임 호환성 (PC 게임 기준)휴대용 기기 사용자 편의성
윈도우 11 (현재)보통매우 높음 (압도적)낮음
스팀OS (Linux 기반)높음 (특정 기기/게임)스팀 게임 중심 (제한적)높음
최적화된 윈도우 (?)높음 (예상)매우 높음높음 (예상)

그래서, 우리는 뭘 걱정하고 뭘 기대해야 할까?

MS의 Xbox 휴대용 콘솔 ‘일시 정지’ 소식은 단기적으로는 아쉽지만,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기대감을 갖게 합니다. 어설픈 제품으로 시장에 뛰어드는 대신, 가장 근본적인 문제인 OS부터 제대로 손보겠다는 의지를 보여줬기 때문입니다.

결국 이 문제는 ‘하나의 OS로 모든 것을 지배하겠다’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오랜 야망이 ‘특화된 경험’이라는 새로운 시대의 벽에 부딪힌 상징적인 사건일지도 모릅니다. 이 최적화 작업은 미래의 Xbox 휴대용 콘솔뿐만 아니라, 이미 시장에 출시된 모든 윈도우 기반 휴대용 게임기의 사용 경험을 바꿔놓을 거대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완벽하게 최적화된 Xbox 휴대용 기기를 기다리는 설렘과, 윈도우라는 거대한 OS가 과연 그 유연성을 증명해낼 수 있을지에 대한 걱정이 교차하네요.

Xbox 휴대용 콘솔 프로젝트는 완전히 취소된 건가요?

공식적으로 완전히 취소된 것은 아니며, 현재는 개발이 ‘일시 정지(pausing)’된 상태로 알려져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기간 동안 윈도우 운영체제의 휴대용 환경 최적화에 집중할 것으로 보입니다.

프로젝트 일시 정지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인가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 윈도우 운영체제가 현재 휴대용 기기에서 충분한 성능 효율성과 배터리 지속 시간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점이 꼽힙니다. 최근 레노버 리전 고에서 스팀OS가 윈도우보다 나은 결과를 보인 것이 이러한 문제점을 부각시켰습니다.

현재 윈도우 기반 휴대용 게임기의 주요 문제점은 무엇인가요?

주요 문제점으로는 터치 및 컨트롤러 중심 UI의 불편함, 높은 시스템 자원 소모로 인한 배터리 효율 저하, 드라이버 호환성 이슈, 그리고 게임 중 발생하는 방해(업데이트 알림 등) 등이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의 휴대용 성능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요?

윈도우에 휴대용 전용 모드를 도입하거나, 전력 관리 알고리즘을 개선하고, 하드웨어 제조사와 협력하여 맞춤형 드라이버를 개발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휴대 환경에 맞게 개선하는 등의 방법으로 성능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