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투스 이어폰 음질, 코덱이 전부였어? SBC, AAC, aptX 제대로 알려드려요!

컴퓨터 사러 갔다가 CPU에서 막히는 것만큼이나 사람 환장하게 만드는 게, 블루투스 이어폰 사려는데 ‘코덱’에서 막히는 겁니다. SBC는 뭐고 AAC는 또 뭐람? aptX는 종류도 왜 이렇게 많아? 저도 예전에 그냥 최신 블루투스 버전 숫자만 높으면 장땡인 줄 알고 샀다가, 영상 볼 때마다 미묘하게 입 모양이랑 소리가 안 맞아서 속 터졌던 경험이 있거든요.

알고 보니 범인은 바로 이 ‘블루투스 코덱’이었습니다. 이거, 별거 아닌 것 같아도 음질부터 반응 속도까지 아주 큰 차이를 만들어요.

그래서 핵심만 요약하면? (3분 순삭)

  • 블루투스 코덱은 음악 파일을 무선으로 보내기 위한 ‘압축 포장 방법’ 같은 거예요. 어떻게 포장하냐에 따라 내용물(음질)이 달라집니다.
  • SBC: 모든 블루투스 기기의 ‘국민 코덱’. 호환성은 최고지만, 음질이나 지연 시간은 그냥 기본만 하는 수준.
  • AAC: 애플의 ‘공식 짝꿍’. 아이폰, 에어팟 유저는 이걸로 들으면 음질 손실이 적고 효율도 좋아요.
  • aptX: 안드로이드폰 유저들의 ‘고음질 희망’. SBC보다 확실히 좋은 음질과 짧은 지연시간을 보여줘요. (단, 아이폰은 지원 안 함!)

코덱, 대체 정체가 뭐야? (feat. 이삿짐센터)

블루투스 코덱을 뭐 대단한 기술처럼 설명하는데, 그냥 ‘이삿짐 싸는 기술’이라고 생각하면 마음이 편합니다.

우리가 듣는 음악 파일(음원)은 생각보다 용량이 꽤 커요. 이걸 블루투스라는 좁은 길로 한 번에 보내려니 너무 벅찬 거죠. 그래서 이삿짐 싸듯이 파일을 꾹꾹 압축해서 보낸 다음, 이어폰에서 압축을 푸는 과정(디코딩)을 거칩니다.

이때 어떤 기술(코덱)로 짐을 싸고 푸느냐에 따라 원본이 얼마나 잘 보존되는지가 결정돼요. 대충 쑤셔 넣으면(SBC) 짐이 상할(음질 저하) 확률이 높고, 꼼꼼하게 완충재 넣고 포장하면(AAC, aptX) 훨씬 안전하게 도착하겠죠? 이게 코덱의 핵심입니다.

SBC: 그냥저냥 쓸만한 기본 옵션

SBC(Subband Codec)는 모든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가 의무적으로 지원해야 하는, 말 그대로 기본 코덱입니다. 윈도우로 치면 ‘메모장’ 같은 존재랄까요? 어딜 가나 열리긴 하죠.

  • 장점: 호환성 100%. 어떤 기기를 사든 소리는 나온다.
  • 단점: 압축 효율이 좋지 않아서 음질 손실이 가장 커요. 특히 고음역대가 뭉개지는 느낌을 받기 쉽습니다. 그리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시간이 좀 걸려서(지연시간, 레이턴시) 영상 볼 때나 게임할 때 소리가 화면보다 반 박자 정도 늦게 들리는 경험, 한 번쯤 해보셨을 거예요. 바로 SBC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AAC: 아이폰의 영원한 단짝

AAC(Advanced Audio Coding)는 애플이 주력으로 미는 코덱입니다. 아이폰, 아이패드, 에어팟, 맥북까지… 애플 생태계에 있다면 거의 무조건 AAC로 연결된다고 보시면 돼요.

  • 장점: SBC보다 압축 효율이 뛰어나서, 같은 용량을 보내도 훨씬 음질이 좋아요. 특히 애플 기기에서는 최적화가 기가 막히게 잘 되어 있어서 전력 소모도 적고 안정적입니다.
  • 단점: 이게 좀 재밌는데, 안드로이드폰에서도 AAC를 지원하긴 하지만 기기마다 성능이 천차만별이에요. 어떤 폰에서는 SBC보다 못한 소리를 들려주기도 합니다. 그래서 “아이폰-에어팟 조합이 진리”라는 말이 나오는 거죠.

제가 예전에 안드로이드폰에 에어팟을 물려 썼는데, 뭔가 소리가 답답하게 들리더라고요. 나중에 알고 보니 이게 다 코덱 궁합 문제였습니다.

aptX: 안드로이드 유저를 위한 선물

aptX는 스마트폰 두뇌(AP) 만드는 걸로 유명한 ‘퀄컴’에서 개발한 코덱이에요. 그래서 퀄컴 칩을 쓰는 안드로이드폰에서 주로 지원하죠.

  • 장점: SBC는 물론이고, 잘 최적화된 AAC보다도 일반적으로 더 좋은 음질과 낮은 지연시간을 제공합니다. CD 수준의 음질을 목표로 만들어져서, 여기서부터는 “오, 무선인데도 소리 괜찮네?” 하는 느낌을 받기 시작해요.
  • 단점: 라이선스 비용이 있어서 주로 중급기 이상 제품에 탑재됩니다. 그리고 가장 큰 함정! 아이폰은 aptX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제 친구가 아이폰 쓰면서 aptX-HD 지원하는 비싼 헤드폰 샀다가, 결국 AAC로 듣는 걸 보고 뜯어말렸던 기억이 나네요. 돈은 돈대로 쓰고 제 성능을 못 뽑는 거죠.

내 폰은 지금 무슨 코덱으로 연결된 거지?

“그래서 내 이어폰은 지금 뭘로 연결된 건데?” 궁금하시죠?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아이폰/아이패드 사용자: 확인할 필요 없습니다. 그냥 AAC 지원 이어폰을 썼다면 AAC, 아니면 SBC로 자동 연결됩니다. 아주 심플하죠?
  • 안드로이드 사용자: 약간의 절차가 필요해요. ‘개발자 옵션’이라는 숨겨진 메뉴를 활성화해야 합니다.
    1. 스마트폰 설정 > 휴대전화 정보 > 소프트웨어 정보로 들어갑니다.
    2. 빌드번호 항목을 미친 듯이 7번 정도 연타하세요! 그럼 “개발자 모드가 켜졌습니다” 같은 메시지가 뜹니다.
    3. 다시 설정 메뉴 맨 아래로 가보면 개발자 옵션이 생겼을 거예요.
    4. 개발자 옵션에 들어가서 아래로 쭉 내리다 보면 블루투스 오디오 코덱 이라는 항목이 보입니다. 여기서 현재 연결된 코덱을 확인하거나, 이어폰이 지원하는 다른 코덱으로 바꿀 수도 있어요.

안드로이드 개발자 옵션에 들어가면 이렇게 현재 코덱을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어요.

어때요, 이제 좀 감이 오시나요?

복잡하게 생각할 것 없습니다. 블루투스 코덱은 결국 ‘내 기기’와 ‘이어폰’ 둘 다 지원해야 제 성능을 낸다는 게 핵심이에요.

  • 아이폰 유저라면? 고민할 것 없이 AAC를 잘 지원하는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사면 됩니다. (사실상 대부분의 메이저 제품들)
  • 안드로이드 유저라면? 이왕이면 aptX, 더 욕심낸다면 aptX HD나 Adaptive를 지원하는 제품을 고르는 게 음질이나 지연 시간 면에서 만족도가 높을 겁니다.

이제 이어폰 스펙 볼 때 ‘블루투스 5.3’ 같은 버전 숫자만 보지 마세요. 그 옆에 작은 글씨로 쓰인 지원 코덱: SBC, AAC, aptX Adaptive 같은 문구를 찾아보는 습관! 그것만으로도 여러분의 무선 음향 라이프가 훨씬 풍요로워질 겁니다.

잠깐! 조금 더 깊게 들어가 볼까요? (TMI) aptX도 종류가 몇 가지 더 있어요. aptX HD는 고음질 음원(24bit) 전용으로 나온 거고, aptX Low Latency는 지연시간을 게임에 적합할 정도로 확 줄인 버전이에요. 요즘은 이 둘을 합쳐서 상황에 맞게 자동으로 음질과 지연시간을 조절해주는 aptX Adaptive가 대세입니다. 만약 스펙에 aptX Adaptive가 보인다면, ‘아, 게임할 때도 음악 들을 때도 알아서 최적화해주는 똑똑한 놈이구나’ 하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정말 아이폰에서 aptX를 쓰고 싶다면? 방법이 아예 없진 않아요. FiiO BTR 시리즈 같은 외장 블루투스 DAC/AMP 동글을 쓰면 가능하긴 한데… 이건 정말 ‘음질에 진심’인 분들의 영역이니, 이런 게 있구나 정도만 알아두셔도 충분합니다.

블루투스 버전(5.0, 5.2, 5.3)이 높으면 음질도 좋은 거 아닌가요?

직접적인 관계는 없어요. 블루투스 버전이 높으면 데이터 전송 속도나 안정성, 전력 효율이 좋아지는 건 맞아요. 이건 마치 ‘도로(블루투스 버전)’가 더 넓고 튼튼해지는 것과 같아요. 하지만 그 도로 위를 달리는 ‘자동차(코덱)’의 성능이 그대로라면 음질이 극적으로 좋아지진 않죠. 물론, 도로가 좋아지니 고성능 자동차(고음질 코덱)가 더 안정적으로 달릴 환경이 만들어지는 간접적인 효과는 있습니다.

LDAC이나 aptX Lossless 같은 코덱도 있던데요?

네, 훨씬 더 좋은 코덱도 많습니다. 소니가 만든 LDAC은 aptX HD보다도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해서 고음질 음원에 더 유리하고, 퀄컴의 aptX Lossless는 이름처럼 무손실 음원을 지원하죠. 하지만 이런 코덱들은 아직 지원하는 기기가 한정적이고, 주변 전파 환경에 따라 성능이 저하될 수도 있어서 아직은 SBC, AAC, aptX가 가장 대중적인 선택지라고 할 수 있어요.

게임할 때 쓸 건데, 무조건 aptX Adaptive가 좋은 건가요?

현재로서는 가장 좋은 선택지 중 하나입니다. aptX Adaptive는 지연 시간을 크게 줄여주기 때문에 총 소리나 발소리가 밀리는 현상을 거의 없애줘요. 하지만 이어폰 자체의 하드웨어 성능도 중요하고, 게임에 따라서는 ‘게임 모드’를 지원해서 코덱과 상관없이 지연시간을 줄여주는 제품도 있으니, 게임용으로 구매할 땐 코덱과 함께 ‘저지연 모드’나 ‘게이밍 모드’ 지원 여부도 같이 확인하는 게 좋습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