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 모드'라고 쓰인 투명한 감옥에 갇힌 윈도우 노트북 화면을 사용자가 답답하게 쳐다보고 있다.

윈도우 S 모드, 대체 뭐길래 나를 괴롭히나? (해제 방법 포함)

“야, 나 노트북 새로 샀는데… 왜 카카오톡이 안 깔려?”

얼마 전, 컴퓨터를 잘 모르는 친구에게서 다급한 목소리로 전화가 왔습니다. 큰맘 먹고 가벼운 노트북을 하나 장만했는데, 인터넷에서 내려받은 카카오톡 설치 파일을 아무리 눌러도 “보안 및 성능을 위해 이 Windows 모드에서는 Microsoft Store의 앱만 실행할 수 있습니다.” 라는 이상한 메시지만 뜬다는 거였죠.

전화기 너머로 느껴지는 친구의 당혹감. 저도 처음엔 ‘바이러스 먹었나?’ 싶었지만, 메시지를 듣는 순간 바로 원인을 알아챘습니다. “아, 너 ‘윈도우 S 모드’에 갇혔구나.”

이 윈도우 S 모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만든 ‘안전 가드’ 같은 건데, 이게 초보자에게는 보호막이 아니라 답답한 감옥이 될 때가 더 많습니다.

그래서 핵심만 요약하면? (3분 순삭)

  • 윈도우 S 모드는 ‘안전빵 모드’예요. Microsoft Store에서 인증한 앱만 설치되고, 웹 브라우저는 ‘엣지’만 쓸 수 있게 제한해 놓은 상태죠.
  • 장점은 ‘보안’과 ‘속도’입니다. 악성코드나 바이러스에 걸릴 확률이 거의 없고, 시스템이 항상 가볍고 쾌적하게 유지돼요.
  • 단점은 ‘자유도 빵점’이에요. 우리가 흔히 쓰는 크롬, 카카오톡, 알집 같은 프로그램을 아예 설치할 수 없습니다.
  • 결론: 대부분의 사람에겐 불필요한 기능입니다. 다행히, 한 번의 클릭으로 무료로 해제할 수 있어요.

윈도우 S 모드, ‘아이폰’을 꿈꿨던 윈도우

“아니, 마이크로소프트는 대체 왜 이런 불편한 걸 만들었을까요?”
친구의 질문에 저는 이렇게 답해줬습니다. “애플의 아이폰이 부러웠던 거지.”

아이폰 vs 안드로이드폰

이 둘의 관계를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에 비유하면 아주 쉽습니다.

  • 아이폰 (윈도우 S 모드):
    • 앱은 오직 ‘앱스토어’에서만 설치할 수 있죠. 애플이 심사하고 허락한 안전한 앱만 쓸 수 있습니다.
    • 덕분에 바이러스 걱정이 거의 없고, 시스템이 안정적입니다. 하지만 자유도는 좀 떨어지죠.
  • 안드로이드폰 (일반 윈도우):
    • ‘플레이 스토어’에서도 앱을 받지만, 원한다면 인터넷에서 APK 파일을 직접 내려받아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 자유도가 높은 만큼, 사용자가 실수하면 악성코드에 감염될 위험도 함께 커집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컴퓨터를 잘 모르는 사용자나, 학교 같은 교육 기관에서 아이들이 실수로 이상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을 막기 위해, 아이폰처럼 ‘안전한 울타리’를 쳐주고 싶었던 겁니다. 그게 바로 ‘윈도우 S 모드’의 탄생 배경이죠.

“이 감옥에서 날 꺼내줘!” S 모드 해제 방법

자, 이제 친구의 노트북을 이 답답한 감옥에서 꺼내줄 시간입니다. 과정은 생각보다 훨씬 간단해요. 하지만 한 가지 명심해야 할 점은, S 모드 해제는 ‘일방통행’이라는 겁니다. 한번 빠져나오면 다시는 S 모드로 돌아갈 수 없어요. (물론 돌아갈 사람도 없겠지만요.)

S 모드 탈출, 1분 컷 가이드

  1. 윈도우 시작 버튼을 누르고 ‘설정(톱니바퀴 아이콘)’으로 들어갑니다.
  2. ‘시스템’ 메뉴를 클릭하고, 왼쪽 메뉴를 쭉 내려서 ‘정품 인증’을 찾아 누르세요.
  3. ‘Windows를 Home/Pro 버전으로 전환’ 섹션 아래에 있는 ‘Microsoft Store로 이동’ 링크를 클릭합니다. (이름이 좀 헷갈리게 되어있어요)
  4. Microsoft Store 창이 뜨면, ‘S 모드에서 전환’ 또는 비슷한 이름의 페이지가 보일 겁니다. 거기서 ‘받기’ 또는 ‘설치’ 버튼을 누르세요.
  5. 잠깐의 로딩 후, “S 모드에서 전환했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뜨면 끝!

이제 친구는 자유의 몸이 되어 카카오톡과 크롬을 마음껏 설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잠깐! 컴덕을 위한 TMI (S 모드는 왜 가벼운 노트북에만 들어갈까?)

유독 ‘서피스 고’ 같은 저사양 노트북이나 태블릿에 S 모드가 기본으로 탑재된 경우가 많아요. 이유가 뭘까요?

S 모드는 백그라운드에서 돌아가는 불필요한 프로그램이 거의 없도록 시스템을 깨끗하게 유지해 줍니다. 덕분에 CPU나 RAM 자원이 부족한 저사양 기기에서도 항상 빠릿빠릿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거죠. 마이크로소프트 입장에서는 “우리 저가형 노트북도 이렇게 빠르다!”고 보여줄 수 있는 좋은 방법인 셈입니다. 하지만 위에서 말했듯, 이 ‘쾌적함’은 ‘자유도’를 희생해서 얻는 것입니다.

나에게는 ‘자유’가 필요합니다

윈도우 S 모드, 이제 확실히 감이 오시죠?

분명 보안과 성능 유지라는 좋은 의도로 만들어진 기능입니다. 컴퓨터로 오직 인터넷 강의 수강과 웹서핑만 하는 학생이나, 부모님께 사드리는 컴퓨터라면 훌륭한 선택지가 될 수도 있어요.

하지만 우리가 컴퓨터를 사는 이유는 결국 ‘자유로운 활용’에 있습니다. 내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내 마음대로 설치하고 사용하는 것, 그게 바로 윈도우 PC의 가장 큰 매력이니까요. S 모드는 대부분의 우리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옷입니다. 망설이지 말고, 자유를 향해 ‘받기’ 버튼을 누르세요.

S 모드를 해제하면 돈을 내야 하나요?

아니요, 완전히 무료입니다. ‘Windows를 Home/Pro 버전으로 전환’이라는 문구 때문에 유료 업그레이드처럼 보일 수 있지만, S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것은 비용이 전혀 들지 않아요.

S 모드를 해제하면 컴퓨터가 위험해지나요?

아니요, 그냥 우리가 흔히 쓰는 일반적인 윈도우 상태가 되는 것뿐입니다. 물론 이제부터는 사용자가 직접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만큼,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에서 파일을 내려받지 않고 ‘윈도우 디펜더’ 같은 백신 프로그램을 항상 켜두는 좋은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S 모드에서 다시 돌아갈 수는 없나요?

네, 공식적으로는 불가능합니다. S 모드 해제는 영구적인 변경입니다. 다시 돌아가려면 공장 초기화 이미지를 이용해 윈도우를 완전히 새로 설치해야 하는 복잡한 과정이 필요해요.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